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웹개발 ] 안쓰는 노트북을 서버용으로 사용하기 ( Ubuntu Server )

실무/[ 기타 ]

by glenn93 2024. 5. 18. 01:58

본문

728x90
반응형

노트북 서버 생성이유?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면 지출이 발생한다. 따라서 놀고있는 노트북으로 우분투 서버를 만들기로 했다.

 

 

 

노트북 서버로의 전환 과정

1. Ubuntu 20.04버전을 다운로드( https://releases.ubuntu.com/20.04/ )

우분투 다운로드 시 desktop버전과 server버전이 존재한다.  둘의 차이는 GUI의 유무라고 정도이다.

다운시 조금의 용량차이말고는 차이점이 없으니 아무거나 사용해도 상관없다.

필자는 desktop버전을 받아서 GUI환경에서 터미널을 사용함.

  • desktop을 받으면 윈도우 바탕화면처럼 아이콘과 기본 GUI가 생성됨.
  • server를 받으면 터미널 창으로 시작
 

Ubuntu 20.04.6 LTS (Focal Fossa)

Select an image Ubuntu is distributed on three types of images described below. Desktop image The desktop image allows you to try Ubuntu without changing your computer at all, and at your option to install it permanently later. This type of image is what m

releases.ubuntu.com

 

 

2. 다운로드 받은 iso를 부팅 usb로 만들기(https://rufus.ie/en/)

Rufus툴을 사용하여 쉽게 부팅 usb를 만들자. 인터넷에 Rufus를 사용한 우분투 이미지 굽기를 검색하여 만들기.
https://www.whatwant.com/entry/notebook-ubuntu-server  참고

 

 

 

 

3. 우분투 설치하기.


bios를 통해 부팅순서를 usb를 우선순위로 두고 저장 및 재접속 시 우분투 설치 가능함. 우분투를 설치해주면 우분투 desktop버전의 바탕화면 이 출력됨을 확인 가능.

 

 

 

 

4. 우분투 Root계정 초기 비밀번호 설정하기

우분투 설치 후 ROOT계정의 비밀번호를 초기화 해줘야한다. 본인 리눅스 서버 계정으로 접속 후

아래 처럼 명령어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생성해준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