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ignore란?
프로젝트를 개발후 깃 저장소(repository)에 올린다고 가정해보자.
원하는 파일 몇가지를 올리고 싶은데 불특정 파일도 changes에 잡히는 경우를 접하곤 한다. 이때, .gitignore 설정 파일에 원치 않는 파일을 명시하여 commit > changes 목록에 보이지 않게 설정이 가능하다.
▶ example
필자는 리액트를 설치하였고, node_modules디렉토리가 생성되었다. 개발을 진행 할때마다 다수의 파일들이 변경 및 추가 되었고 계속 수만개의 changes목록에 잡혔다.
▶ 왜 node_modules파일은 저장소에 올리지 않는가?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패키지 매니저(package.json / yarn.lock)를 사용하여 종속성을 관리한다.
패키지 매니저만 올리며,
node_modules 를 Git 저장소에 추가하는 것은 저장소를 복제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며,
저장소의 크기도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속도와 효율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node_modules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에 추가하는 대신 .gitignore파일에 이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Git이 이를 무시하도록 설정한다.
.gitignore 사용법
.gitignore은 작성법을 따라 본인이 직접 작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필자는 자동 생성 사이트를 이용한다.
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toptal.com
인텔리제이 디렉토리 색상별 상태
.gitignore파일을 수정해도 미적용 된다면?
터미널에서 해당 프로젝트 최상위 경로로 가서 아래 명령어로 캐시를 제거해준다.
1. git rm -r --cached .
2. git add .
3. git commit -m "clear git cache"
4. git push
[ 웹개발 ] RabbitMQ란? (1) | 2024.05.16 |
---|---|
[ 웹개발 ] callback과 async await 의 차이 (0) | 2024.05.12 |
[ 웹개발 기타 ] 오라클 서버 재기동 (Oracle Restart) (0) | 2024.04.03 |
[ 웹개발 기타 ] SSL 적용 (0) | 2024.03.15 |
[ 웹개발 기타 ] FAKE SMTP (0) | 2024.03.15 |